1. 생산지시등록진행 후 생산출고까지 진행하는 프로세스는 아래와 같이 진행됩니다
작업1) 생산지시등록 → 자재청구등록 → 생산출고등록
작업2) 생산지시등록 → 생산출고등록
2. 자재청구등록에서 생산지시 데이터가 불러오지 않습니다.
- 생산출고등록에 반영된 데이터는 자재청구등록으로 진행이 불가합니다.
생산지시등록에 1번데이터 생성하며 소요자재는 A, B, C 등록
생산출고등록에 1번데이터 생성하며 소요자재는 A, C만 등록
자재청구등록에서 1번데이터 불러오기 가능하나 품목은 B만 표시됩니다.
3. 생산출고에 반영시킨데이터는 자재청구에서 아예 불러오지 못하는 건가요?
- 생산출고등록에 반영시 소요자재 모든개수가 아니라 일부만 반영한것이라면 자재청구에 반영이 가능합니다.
생산지시등록에 1번데이터 - A자재 10개 사용등록
생산출고등록에 1번데이터 - A자재 5개 사용등록
이 경우 5개의 잔량이 남기때문에 자재청구등록 혹은 생산출고등록에서 잔여 5개에 대해서 추가로 처리가 가능합니다.
4. 생산지시등록에 입력하고 생산출고에 반영하지않았는데, 자재청구에서 지시번호 조회가 되지않습니다.
- 생산지시등록에서 하단 소요자재에 품목이 존재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.
품목을 기준으로 다음작업이 이루어지기때문에 소요자재가 없는 경우에는 지시번호 불러오기가 불가합니다.
1.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 소득구분별 집계항목 안내
※ 모든데이터는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와 입력자료의 귀속또는 지급월이 동일한경우 아래 조건에 맞는 항목별 금액이 집계됩니다.
불러오는 월에 대한 설정은 [원천세신고지설정]메뉴의 환경설정탭에서 3.이행상황신고서집계방식 설정을 통해 변경이 가능합니다.
[근로소득]
-A01 : [급여입력] (무급자의 경우에는 인원수가 집계되지않습니다)
-A02: 연말정산자료입력의 정산구분이 '중도퇴직자'인 데이터 (단, 반영만으로는 불러오기가 불가하여 관리자마감까지 되어있어야합니다)
-A03: [일용직급여입력] + [일용직급여일괄입력] 데이터
-A04: [연말정산자료입력]에서 '계속근무자' 데이터
[퇴직소득]
-A22: [퇴직금산정]메뉴 데이터
[사업소득]
-A25: [사업소득자료입력] +[비거주자소득자료입력]의 개인 비거주자의 사업소득 데이터
[기타소득]
-A42: [기타소득자료입력]의 종교인 소득을 제외한 기타소득 + [비거주자소득자료입력]의 개인 기타소득 데이터
-A43: [기타소득자료입력]의 77.종교인 소득 데이터
[인적용역]
-A59: [기타소득자료입력]의 76.강연료등, 79.자문료 데이터
[이자소득]
-A50: [이자배당소득자료입력]의 개인 이자소득 데이터
[배당소득]
-A60: [이자배당소득자료입력]의 개인 배당소득 데이터
[내외국법인원천]
-A80: [비거주자소득자료입력]과 [이자배당소득자료입력]에서 소득자가 '법인'인 데이터
2. [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]에서 반기혹은 월별로 변경하고싶습니다.
-시스템설정>조직관리>사업장관리에서 사업장별 신고관련정보에 있는 '이행상황신고구분'란에 0.월별 혹은 1.반기 설정해주시면됩니다.
3. 급여자료에 입력된 데이터와 신고서에 불러오는 금액이 차이가 있습니다.
-비과세 항목이 누락되어 그런경우로 비과세의 경우 제출비과세와 미제출비과세가 있는데, 이 중 신고에 반영되는 비과세는 제출비과세뿐입니다.
급여지급내역에 미제출비과세로 금액이 반영되어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.
4. [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]에 반영되는 사업장정보를 변경하고싶습니다.
-시스템설정>조직관리>사업장관리에서 정보를 변경하시면 됩니다.